[Flutter] fvm 설치 및 사용방법(Flutter Version Management) 플러터가 출시 된 이후로 현재 수 많은 버전이 존재합니다. 그리고 업데이트 속도도 굉장히 빠른 편입니다. 이렇게 계속해서 업데이트되고 있는 상황에도 수많은 개발자들이 특정 버전을 이용해 기능을 개발해 나가고 있습니다. 프로젝트를 버전에 맞춰 업데이트 해 나가는 것도 쉽지만은 않은 일이고 특히 팀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해 나가는 경우에는 버전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. 이 과정을 수월하게 도와주는 fvm의 설치와 사용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아래는 fvm의 공식 사이트입니다. https://fvm.app/ Index – FVM fvm.app 1. 설치 방법 설치 방법에는 크게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. 한가지는 독립적으로 설치하는 방법(Standalone)이고 다른 한가지는 pub package를 이용하는 .. 프로그래밍/flutter 약 1년 전
[flutter] 파이어베이스 이용 / SNS 로그인 구현하기 - ① iOS 환경 설정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어베이스를 이용해서 SNS 로그인 (ex. 구글, 페이스북, 카카오톡)을 할 수 있도록 간단한 로그인 페이지를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. 안드로이드와 iOS 모두 진행을 할 것이기 때문에 맥으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. 1. 플러터 프로젝트 생성 우선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새 프로젝트를 생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 프로젝트 이름과 Organization 부분을 작성해줍니다. 다 적고 나서 Finish를 눌러줍니다. 2. firebase console 에 프로젝트 등록하기 프로젝트가 만들어 졌다면 다음 할 일은 firebase console에 접속합니다. 파이어 베이스 콘솔 : https://firebase.google.com/ Firebase Firebase는 고품질 앱을 빠르게 개발하고.. 프로그래밍/flutter 4년 전
[플러터 오류] Exception in thread "main" java.lang.NoClassDefFoundError: javax/xml/bind/annotation/XmlSchema 해결하기 - flutter doctor 터미널에 flutter doctor 를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현재 설치 환경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. 위 사진을 보면 한가지 부분에 [!] 가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고 위 부분에 대한 것은 'flutter doctor --android-licenses' 를 입력하라고 나와 있다. 처음 환경을 구축할때 저렇게 입력을 하면 잘 진행이 된다. 한번 입력을 해본다.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. Exception in thread "main" java.lang.NoClassDefFoundError: javax/xml/bind/annotation/XmlSchema at com.android.repository.api.SchemaModule$SchemaModuleVersio.. 프로그래밍/flutter 4년 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