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SMALL
1001 : [기초-출력] 출력하기01(설명)
Hello 출력하기
print("Hello")
1002 : [기초-출력] 출력하기02(설명)
Hello World 출력하기
print("Hello World")
1003 : [기초-출력] 출력하기03(설명)
Hello
World 출력하기 (줄바꿈)
print("Hello\nWorld")
1004 : [기초-출력] 출력하기04(설명)
'Hello' 출력하기
print("'Hello'")
1005 : [기초-출력] 출력하기05(설명)
"Hello World" 출력하기
print('"Hello World"')
print("\"Hello World\"") # 둘 다 가능
1006 : [기초-출력] 출력하기06(설명)
"!@#$%^&*()" 출력하기 (큰따옴표 포함)
print('"!@#$%^&*()"')
print("\"!@#$%^&*()\"") # 둘다 가능
1007 : [기초-출력] 출력하기07(설명)
"C:\Download\hello.cpp" 출력하기 (큰따옴표 포함)
print("\"C:\Download\hello.cpp\"")
1008 : [기초-출력] 출력하기08(설명)
┌┬┐
├┼┤
└┴┘ 출력하기

import io, sys
sys.stdout = io.TextIOWrapper(sys.stdout.buffer, encoding='utf8') # 코드 작성할 때 위에서 복사해서 붙여넣기
print("\u250C\u252C\u2510\n\u251C\u253C\u2524\n\u2514\u2534\u2518")
1010 : [기초-입출력] 정수 1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(설명)
입력받은 정수를 그대로 출력하기
n = input()
a = int(n)
print(a)
input() 함수는 입력을 받을 수 있게 해주는 함수이다. 코드를 실행하면 입력받을 수 있는 칸이 뜨고 거기에 정수가 입력되면 그 정수를 n에 저장한 후 (입력받은 것은 문자열 타입) 인트로 변환해 준 뒤 프린트 해준다.
1011 : [기초-입출력] 문자 1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(설명)
입력받은 문자를 그대로 출력하기
a=input()
print(a)
1012 : [기초-입출력] 실수 1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(설명)
입력받은 실수를 그대로 출력하기
a=input()
a=float(a)
print("%f" % a)
1013 : [기초-입출력] 정수 2개 입력받아 그대로 출력하기(설명)
정수 2개를 받아서 그대로 출력하기
a,b = input().split()
n=int(a)
m=int(b)
print(a, b)
a,b 형태의 튜플 형태로 변수를 저장할 수 있다.
저장된 값을 각각 인트 형태로 변한한 후 프린트 해준다.
1014 : [기초-입출력] 문자 2개 입력받아 순서 바꿔 출력하기(설명)
두개의 문자를 받아서 순서 바꿔 출력하기
a,b = input().split()
print(b, a)
1015 : [기초-입출력] 실수 입력받아 둘째 자리까지 출력하기(설명)
실수 1개를 입력받아 소수점 3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2째자리까지 출력하기
a = float(input())
print("%.2f"%a)
728x90
반응형
LIST